고유한 시정신과 언어의 영토를 개척한, 근 현대 시사에서 가장 한국적인 시인이라 할 수 있는 미당 서정주의 시작법. 이 책은 미당이 가장 왕성한 시작활동을 펼치던 시절에 펴낸 시론서들 중에서 핵심적인 내용들을 간추린 것으로, 서정주, 정지용, 백석의 시를 포함한 현대시 100여 편이 각 항목마다 선별 수록 되어있다. 현대 국문학 교수이며, 시인이자 평론가로 활동하는 세 명의 교수가 기획, 편집하고 해설을 붙임으로써 시를 쓰고자 하는 이라면 부담없이 접근할 수 있는 시 입문서이다. | |
|
• 목차보기 |
|
|
|
1부 시를 알아야 시를 쓴다 ㆍ시란 무엇인가 시란 언어는 적으면서 사상은 큰 것 - 김지하 '중심의 괴로움', 조오현 '벌레' 언어를 벗어난 사상은 없다 - 백무산 '호미', 이재무 '위대한 식사' 시의 공리는 예술성에 있는 것 - 신대철 '알스트로메리아', 신해욱 '섀도복싱' 시를 써야 시가 되느니라 - 서림 '오존주의보가 내려도', 김영승 '반성16' 작품을 통해 배워라 - 서정주 '격포우중', 문태준 '맨발'
ㆍ시에 어떻게 다가갈까 자기가 먼저 감동하는 시를 써야 - 최영미 '선운사에서', 송재학 '철아쟁' 새로운 세기일수록 강렬한 감동으 시를 - 방민호 '죽음의 나날', 배용제 '홀로코스트'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쓰기를 - 도종환 '접시꽃 당신', 이상국 '가난하다는 것은' 시심(詩心)이면 족하다 - 김기택 '사무원', 황학주 '루시' 향토정서를 존중하라 - 안상학 '아배 생각', 정기복 '단양 마늘'
ㆍ시가 갖추어야 할 것이 있으니 시에는 모름지기 '눈'이 있어야 - 유홍준 '상가에 모인 구두들', 지인 '호랑이의 곡' 감동이 주는 침묵을 기호화하라 - 이근화 '고베의 지진', 염명순 '꿈' 덜 익은 시상이 시를 망친다 - 박정대 '사곶 해안', 고두현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인생의 모든 것이 시의 재료다 - 박원 '겨울방학', 송경동 '용접꽃' 언외의 암시력을 살려라 - 박형준 '저 곳', 이기인 '솜털'
ㆍ시인이 사는 법 : 허연 '안에 있는 자는 이미 밖에 있던 자다' 나의 시작 과정 : '국화 옆에서'
2부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ㆍ시의 언어 생명 그대로의 최초 발성을 - 김혜순 '벼랑에서', 박진성 '목숨' 모국어의 묘미를 알아야 - 허수경 '대구 저녁국', 김선우 '나생이' 이디엄을 얕보지 말라 - 박철 '너희들 잠든 사이', 여태천 '저녁의 외출' 뼈를 울리는 언어의 음색에 주목하라 - 이대흠 '동그라미', 안도현 '봄똥' 시어는 표어가 아니다 - 안명옥 '붉은 수수밭', 한명희 '힘내라, 네팔'
ㆍ형식과 리듬 시 정신이 형식을 결정한다 - 오태환 '사랑', 김용희 '옛사람'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수립하라 - 이병률 '견인', 손택수 '화살나무' 행갈이와 연나눔의 기술을 알아야 - 장석남 '저녁 햇빛에 망?르 내어 말리다', 신용목 '갈대 등본' 리듬에 주목하라ㅡ시의 운율 - 김왕노 '실밥', 박상순 '스모그' 정형률의 가치에 새로운 시선을 - 정이용 '고향', 홍성란 '애기메꽃' 산문시도 산문의 서술은 아니다 - 박용하 '지구', 차창룡 '죽지 않는 나무'
ㆍ시적 수사 기교란 체험의 창조적 표현이다 - 정끝별 '흰 책', 정남식 '빛도 어둠도 아닌 사랑' 직유가 간단한 것은 아니다 - 박주택 '가로등', 김경주 '저녁의 염전' 은유는 낯선 세계를 보여준다 - 송찬호 '구두', 권혁웅 '방광에 고인 그리움' 상징은 시상의 깊이와 넓이에 기여한다 - 이은림 '태양중독자', 김혜영 '현무2'
ㆍ이미지 구상적 이미지가 감동을 준다 - 김상미 '사랑', 엄원태 '표충사 가는 길' 시각적 이미지는 시의 밑그림 - 이세기 '먹염바다', 박찬일 '나는 푸른 트럭을 탔다' 이미지를 포식하지 말라 - 박판식 '밤의 피치카토', 이윤림 '삭발' 새로운 전형을 창조하라 - 김충규 '석양', 길상호 '감자의 몸' 음성 이미지에 귀를 기울일 것 - 이선영 '하루', 김영남 '푸른 밤의 여로'
ㆍ시의 유형 정조의 시 - 오세영 '고죽도', 전동균 '험허동천에서 오래 서성이다' 예지의 시 - 조기조 '새의 나라', 이종수 '자작나무 눈처럼' 의지의 시 - 장정일 '<중앙>과 나', 오봉옥 '꽃' 지.정의 제합의 시 - 백석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박현수 '세한도'
ㆍ탈고의 자세 : 박서원 '문으로 가는 길' 시는 이렇게 고쳐라 : 실제 창작지도의 예
3부 시는 어떻게 깊어지는가 ㆍ시의 새로움은 어디에서 오는가 시야가 좁으면 매너리즘에 빠지나니 - 정일근 '선암사 뒷간에서 뉘우치다', 허수경 '베를린에서 전태일을 보았다' 언어의 기성복을 벗어라 - 이윤학 '사다리', 유지소 '노인' 제목을 다시 보라 - 안현미 '곰곰', 유수연 '오목렌즈'
ㆍ시의 체험과 현실이란 무엇인가 지식보다 체험을 우선하라 - 김신용 '환상통', 양문규 '화정을 떠나며' 내면의 괴로움이 깊을수록 절제하라 - 이승하 '짐승은 자고 난 흔적을 남긴다', 허혜정 '밤의 스탠드' 시적 현실은 실제와는 다른 것 - 함기석 '국어선생은 달팽이', 김형술 '유리침대'
ㆍ시와 사상은 어떤 관계인가 자기 숨을 쉬기에 가장 적합한 세계를 - 최승자 '악순환', 장철문 '내 복통에 문병가다' 인식의 벽에 도전하라 - 최동호 '수염 없는 달마의 수염', 함민복 '죄' 동양적 세계를 탐구하라 - 조용미 '불멸', 유강희 '여승' 세계의 근원으로서의 무(無) - 서정주 '무의 의미', 강신애 '지옥의 환인'
시에서 독자의 의미 : 박영근 '빙벽' 앞선 시인을 이해하고 배우는 법 : 김소월론 출전 시인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