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초를 가꾸는데도 별로 신경쓰지 않아도 싱싱하게 자라 봉우리를 맺는게 있는 가하면 아무리 돌봐줘도 뜻대로 성장하지 않는 것도 있다.
시도 마찬가지로 구조가 탄탄하고 가슴에 울림이 오는 놈이면 본격적인 다듬기에 들어가야 하지만 처음부터 싹수가 노란 시는 미련없이 휴지통에 버리는 것이 더 낫다.
그러면 적게 고치는 시 성공도가 높은 시는 어떻게 쓸 수 있을까?
시쓰는 사람들이면 누구나 나름대로의 비방을 가지고 있겠지만 모 유명한 교수의 세 가지 원칙을 여기서 소개코자 한다.
첫번째 원칙은 가능하면 변용이 쉬운, 즉 쉽게 이중구조를 구축할수있는 오브제(obj)를 선택하는 것이다. 만약 변용이 쉽지 않은 오브제라면, 자체에 다의성을 함축하고 있는 것을 선별 활용한다.
예를 들어 방안에 창, 벽, 책상, 책, 스탠드, 연필, 재털이, 옷등이 있다면 '창'과 '벽'이 다른 것에 비해 변용이 유리할 것이다.
예컨데 '창'은 현실의 창, 인생의 창, 내면의 창, 지식의 창, 학문의 창, 유년의 창,....등으로 상상을 쉽게 변용해서 확대해 나갈수 있으며, 그에 따라 메타포가 잘 형성이 쉽다.
둘째로는 시의 첫줄에 강력한 긴장이 흐르도록하는 것이다.
도입부가 긴장과 흥분을 자아내야만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입부의 긴장이 전개부의 상상력을 증폭시키고 발전시키는 촉매역을 해 주기 때문이다. 내용상으로는 동기부가 생략됐을때 긴장과 흥분을 갖게되며, 문장에 탄력이 생긴다.
세째로는 마무리는 작품의 작품성, 작가의 철학등 깊이를 평가 받을수있는 항목이므로 구조상 마무리에 증폭이 가해 질수 있는가 없는가를 따져 보아야한다. 실제로 뚜렷한 마무리가 예상되는 시는 쉽게 써지고 또한 전개나 전환 부분이 약간 미진하더라도 훌륭한 마무리 덕택에 별달리 결점이 노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시의 첫줄과 마무리가 훌륭하게 구상되면, 나머지 부분은 거의 무수정상태로 채워져 한편의 시가 태어나게 된다.
쓰고 난 다음 퇴고를 행할때에도 구절을 보완하는 경우는 있지만 대폭적으로 고치는경우가 없는 것도 이 때문인 것이다.
* 메타포:수사학에 있어서의 비유적 표현.은유. 암유
시도 마찬가지로 구조가 탄탄하고 가슴에 울림이 오는 놈이면 본격적인 다듬기에 들어가야 하지만 처음부터 싹수가 노란 시는 미련없이 휴지통에 버리는 것이 더 낫다.
그러면 적게 고치는 시 성공도가 높은 시는 어떻게 쓸 수 있을까?
시쓰는 사람들이면 누구나 나름대로의 비방을 가지고 있겠지만 모 유명한 교수의 세 가지 원칙을 여기서 소개코자 한다.
첫번째 원칙은 가능하면 변용이 쉬운, 즉 쉽게 이중구조를 구축할수있는 오브제(obj)를 선택하는 것이다. 만약 변용이 쉽지 않은 오브제라면, 자체에 다의성을 함축하고 있는 것을 선별 활용한다.
예를 들어 방안에 창, 벽, 책상, 책, 스탠드, 연필, 재털이, 옷등이 있다면 '창'과 '벽'이 다른 것에 비해 변용이 유리할 것이다.
예컨데 '창'은 현실의 창, 인생의 창, 내면의 창, 지식의 창, 학문의 창, 유년의 창,....등으로 상상을 쉽게 변용해서 확대해 나갈수 있으며, 그에 따라 메타포가 잘 형성이 쉽다.
둘째로는 시의 첫줄에 강력한 긴장이 흐르도록하는 것이다.
도입부가 긴장과 흥분을 자아내야만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입부의 긴장이 전개부의 상상력을 증폭시키고 발전시키는 촉매역을 해 주기 때문이다. 내용상으로는 동기부가 생략됐을때 긴장과 흥분을 갖게되며, 문장에 탄력이 생긴다.
세째로는 마무리는 작품의 작품성, 작가의 철학등 깊이를 평가 받을수있는 항목이므로 구조상 마무리에 증폭이 가해 질수 있는가 없는가를 따져 보아야한다. 실제로 뚜렷한 마무리가 예상되는 시는 쉽게 써지고 또한 전개나 전환 부분이 약간 미진하더라도 훌륭한 마무리 덕택에 별달리 결점이 노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시의 첫줄과 마무리가 훌륭하게 구상되면, 나머지 부분은 거의 무수정상태로 채워져 한편의 시가 태어나게 된다.
쓰고 난 다음 퇴고를 행할때에도 구절을 보완하는 경우는 있지만 대폭적으로 고치는경우가 없는 것도 이 때문인 것이다.
* 메타포:수사학에 있어서의 비유적 표현.은유. 암유
출처 : 文sarang
글쓴이 : 주공 원글보기
메모 :
'나리의 수업 > 시 배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 이형기(시인) (0) | 2010.03.08 |
---|---|
[스크랩] 수사법 총정리 (0) | 2010.03.05 |
[스크랩] 부끄러움이 시인을 만든다 (0) | 2010.02.18 |
[스크랩] 분노도 시인을 만든다 (0) | 2010.02.03 |
[스크랩] 슬픔이 시인을 만든다 (0) | 2010.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