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리의 수업/시 배움 자료

좋은 시를 쓰려면

by 拏俐♡나리 2010. 11. 24.

좋은 시를 쓰려면


1) 내 시에 진정 독특한 그 무엇이 있는가?

2) 하나의 문제를 중심축(통일성)으로 이미지를 전개하였는가?

3) 절실한 내용을 진실하게 이야기하고 있는가?

4) 관념==>인식을, 습관==>체험을 !

5) 정서에 비해 의식이 너무 앞서지 않았는가?

6) 산문적인 분위기를 풍기지 않았는가?

7) 재주를 경계한 채 하나의 진실을 의젓하게 이끌어가고 있는가?

8) 주제의식을 선명하게 표현할것

9) 생략된 표현, 상징적인 언어 그리고 은유법이 곧 좋은 시

10) 지나치게 설명적이지 않은가 (시는 설명이 아니고 묘사)?

11) 표현 하나하나에 긴장관계를 유지하면 구조적으로 튼튼한 시가 형성된다

12) 일상적인 관념어의 남용이 흠이 되지는 않는가?

13) 소재에 대한 승화(의미 확대)는 잘 되었는가?

14) 포장된 상념, 자기 정서에 빠지지 않았는가?

15) 공연한 군말을 붙이지 않는가?

16) 개인적인 체험을 공적인 언어구조로 승화시켰는가?

17) 소재의 구체성을 깊이 있도록 할것

18) 역동적인 자세(알맞은 속도감, 역동적 이미지 처리)

19) 무리한 비약이 있거나 난해하지 않은가?

20) 지나친 압축, 생략, 경한(가벼운) 시류는 없는가?

21) 마음의 부피가 엷어 부질없는 포즈를 취하지는 않는가 ?

22) 지나치게 서술하여 명료성이 부족하지 않은가 ?

23) 한자를 남용하지 않았는가 ?

24) 필요 없는 반복이 거듭되지 않았는가?

25) 인식력과 표현력의 조화를 맞추었는가?



[시 창작을 위한 방법]

1. 장식 없는 시를 써라

설명하지 않아도 되는 것,

시적 공간만으로 전해지는 것,

그것이 시의 매력이다.

시를 쓸 때는 기성시인의 풍을 따르지 말고 남이 하지 않는 얘기를 하라.

주위의 모든 것은 소재가 될 수 있으며

시의 자료가 되는 느낌들을 많이 가지고 있게 되면

시를 쓰는 어느 날 그것이 튀어나온다.

하지만 시는 관념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관념이 구체화되고 형상화되었을 때 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묘사하는 연습을 많이 하라.


2. 시는 감상이 아니라 경험임을 기억하라

시는 경험의 밑바탕에 있는 단단한 생각에서 나오는 것이다.

이때의 경험은 구체적 언어를 이끌어 내 준다.

단지 감상만 갖고서는 시가 될 수 없으며

좋은 시는 감상을 넘어서야 나올 수 있다.

시는 개인으로부터 시작했지만

개인을 넘어서야 감동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감상적인 시만 계속해서 쓰면 '나'에 갇히게 된다.

그러므로 '나'를 넘어선 '나'의 시를 쓰라.

단, 시를 쓰는 일이란

끊임없이 누군 가를 격려하는 일임도 기억해야 한다


* 원저자를 몰라 이름을 올리지 못했습니다.


출처 :호월의 습작시 블로그 원문보기▶ 글쓴이 : 호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