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화삼 과 나그네
완화삼
조 지 훈
차운 산 바위 우에 하늘은 멀어
산새가 구슬피 울음 운다.
구름 흘러 가는
물길은 七百里
나그네 긴 소매 꽃잎에 젖어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 노을이여.
이 밤 자면 저 마을에
꽃은 지리라.
다정하고 한 많음도 병인 양하여
달빛 아래 고요히 흔들리며 가노니......
나그네
박 목 월
江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南道 三百里
술 익은 마을마다
타는 저녁 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 '완화삼'에서 비판의 표적이 되는 대목은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
놀이여"이다. 엄혹한 일제 하에서 또는 그 직후라도(이 시는 46년에
발표되었다) 무슨 술 익는 강마을이 있었겠느냐는 것이다. 이 질문
자체가 가령 군사 독재 시대에 나온 연애 시에 대하여 그 혹독한 시
절에 무슨 그렇게 달콤한 사랑이 있었느냐고 힐난하는 것이나 마찬
가지로 성립될 수 없는 터이지만, 지훈의 생가와 그 주위를 다녀 보
면 이 시가 허구나 관념에서 나온 것이 아님을 쉽게 알 수 있다. 적
어도 그 주위에는 이런 정서가 넘쳐 흐른다. 이 시의 화답으로 쓰여
졌음을 밝힌 목월의 '나그네'와 비교하면서 읽으면 재미있을 것이다.
** 시 '나그네'의 앞에 "술 익은 강마을의/ 저녁 노을이여"라고
한 리드는 이 시의 동력이 어디에 있는가를 말해 준다. 말하자면
'완화삼'의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 노을이여"라는 주조가 '나그네'에
서는 "술 익은 마을마다/타는 저녁 놀"로 변조되어 있다. 그 밖에도
"구름 흘러 가는/ 물길은 칠백리// 나그네 긴 소매 꽃잎에 젖어"에서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의 이미지가 추출되었다고 추측한대
도 크게 틀리지는 않을 것이다.
-- 그러나 이것을 모방이라고 말해서는 안된다. 서로 주고받은 시에
서 차용은 허락되는 것이 관례이기 때문이다. 다만 '완화삼'을 원전
으로 한 '나그네'가 훨씬 성공한 시가 되고 있다는 점은 생각해 볼
대목이다. '나그네'는 어찌 보면 '완화삼'의 이미지를 단순화하고 구
체화한 시요, '완화삼'의 완성이다. 여기에 단순성과 구체성이 요체
라는 시의 비밀이 들어 있는지도 모른다.
------------------------ '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 중 -- 流石 .
'나리의 수업 > 작가, 작품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17차 전상국 기행보 (0) | 2011.08.22 |
---|---|
[스크랩] 박완서 문학기행 (2011.6.11) - 박완서 생가~묘지 참배까지 (0) | 2011.06.14 |
[스크랩] 2011 제6회 윤동주문학대상 수상자 함민복 시인 선정 (0) | 2011.04.06 |
[스크랩] 소통부재가 소통인 시대의 시 읽기 3 - 이동호 [조용한 가족]/권기만 (0) | 2011.04.04 |
[스크랩] Re:Re:115차 서정주 기행보 (0) | 2011.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