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 글펌/좋은 시 모음

두실역 일 번 출입구 / 최정란

by 拏俐♡나리 2011. 6. 1.

[2003년 국제신문 신춘문예 당선시]

 

두실역 일 번 출입구 / 최정란

 

 

퇴근길, 지하도 계단을 올라서면

맥도날드 불빛을 등지고 일 톤 트럭 한 대가

가파른 작은 불빛을 밝히고 있다

그 불빛 아래 손짓으로만 말하는 두 사람

이마에 맺힌 근심을 닦으며 말을 굽는다

말과 말 사이, 사이

숨을 고르는 손으로

꽃 모양 틀에 묽게 풀린 소리의 반죽을 붓고

그 위에 잘 발효된 침묵을 한 줌 얹자

설익는 말들이 숨을 죽이고 돌아눕는다

반죽 묻은 손으로 간을 맞추고

삐걱거리는 관절의 안부를 묻는 동안

젖은 말들 불의 온기를 들이마시고

완숙의 음절로 한껏 부풀어올라

두꺼워지는 어둠을 몇 걸음 뒤로 밀어낸다

종이봉지 안에서는

단골이라고 한 마디 더 얹어준 덤의 말

속에 든 말없음표까지 골고루 뜸이 들고

보드랍게 말랑거리는 말을 받아든

나는 목에 걸린 고등어 가시 같은 누추한 설움에

목 메인 일상을 천천히 목으로 넘기며

무성한 차가운 말들이 파놓은

캄캄한 지하도 같은 숨은 함정들을 용서한다

오늘도 두실역 일 번 출입구 농아 부부

소리 없이 따뜻한 느낌표 같은 붕어빵을 굽는다

 

------------------------------------------------------------------------------------------------

 

[심사평]

 

 

예심을 거쳐 본심에 올려진 작품은 12명이 쓴 71편이었다. 이 시편들을 읽으면서, 예비시인들이 지향하는 시의 경향이 어느 지점에 와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었다. 발상의 새로움도 있었고, 세태를 흥미롭게 반영하는 삶의 시들도 많았다. 그러나 심사자들의 관심은 누구에게나 열려져 있는 시적 대상을 개성적인 시선으로 노래하는 역량이었다.

 

다양한 소재들이 시적 대상이 되고 있었지만 참신한 언어감각, 선명한 이미지 조형력과 개성적인 자기 호흡법을 지닌 시는 그렇게 많지 않았다. 이는 대부분의 시들이 신춘문예용 맞춤시를 넘어서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국 마지막까지 남은 작품은 'cafe 통기타', '낙타할머니', '굴비', '두실역 일 번 출입구' 등이었다.

 

'cafe 통기타'는 통기타의 줄이 지닌 음역을 다양한 이미지로 변주하고 있는 발상 자체가 흥미롭고 인상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짧고 긴 호흡의 교대가 빚어내는 개성적인 리듬은 살만했다. 그러나 시를 여는 첫 행의 이미지가 다음 행을 적절히 유도하고 있지 못해 시작의 적절성이 문제가 되었다.

 

'낙타할머니'는 한 노파의 일상의 모습을 낙타로 형상화하고 있는 발상은 좋았으나,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기법이 너무 교과서적인 선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새로운 발상에 걸맞는 새로운 이미지가 필요했다는 말이다.

 

'굴비' 역시 충분히 좋은 시를 쓸 수 있는 역량을 보이는 작품 중의 하나였다. 어머니가 엮던 굴비에 대한 추억을 섬세한 리듬과 원형적 이미지로 형상화하고 있는 점은 이 시가 지닌 강점이다. 그러나 한 편의 시가 지녀야할 구성의 집중력이 떨어져, 시가 지녀야 할 긴장감을 갖지 못한 것이 약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에 비해 '두실역 일 번 출입구'는 시의 구성력이나 언어를 다루는 감각이 뛰어났다. 뿐만 아니라 농아부부가 굽는 붕어빵을 시적 대상으로 삼아, 그들이 빵을 굽는 행위를 말을 굽는 시적 의미로 끌어올리고 있는 시선이 돋보였다.

 

그리고 그들과의 교감을 통해 전해지는 시적 화자는 따뜻한 인간애를 무리 없이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을 당선작으로 선정하는데 쉽게 합의했다. 당선을 축하하며 계속적인 정진을 기대한다.

 

- 심사위원 : 신경림 시인, 남승우 문학평론가(부경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