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리의 수업/시 배움 자료151 [스크랩] 현대시 일반 이론 현대시 일반 이론 시의 정의 1. 서구에서의 시 정의 2. 동양에서의 시 정의 3. 시의 정의 1. 서구에서의 시에 대한 정의 우리 시문학사에 있어서 시에 대한 정의는 주로 서구의 시문학 내지 그들의 시론에 의지해 왔음이 사실이다. 서구에서의 시의 출발은 그리이스어의 '포에시스'로 보고 있다. 그 말에.. 2010. 7. 15. [스크랩] 좋은 詩를 쓰려면 좋은 시를 쓰려면 -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해서 써야 한다. - 적어진 글을 소리내어 읽으면서 문맥의 흐름을 다듬는다. - 우연한 기회에 스치는 영감을 메모해 두었다가 적당한 시어로 옷입히기를 한다. - 메모하는 습관을 가진다. - 추상과 구상을 적당하게 배분한다. - 직유보다는 은유에 치중해서 글을 .. 2010. 7. 13. [스크랩] 시와 시인, 그리고 독자들 시와 시인, 그리고 독자들 / 박제천 시란 무엇인가. 여기 대해서는 역사 이래로 수많은 답이 마련돼 있다. 그 답안을 읽는 일은 어찌 보면 시문학사 전체를 섭렵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인된 자는 거의 누구나 이 질문에 매력을 갖고, 자문자답해 보기 때문이다. 하늘의 성좌도를 바라보듯, 그 답안.. 2010. 7. 13. [스크랩] [시론] 자연적인 언어와 인위적인 언어 자연적인 언어와 인위적인 언어 한 때 시의 언어가 따로 있는 것으로 생각했던 적도 있었다. 즉 고전주의 문학이론에 의하면 시어(poetic diction)는 인위적, 미적인 것이며 따라서 비속한 일상어가 아니라, 일종의 아어(雅語)여야 한다는 주장이 강렬하게 일었었다. 이러한 고전주의적 주장에 대해 정면적.. 2010. 7. 1.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8 다음